ARTISTS

이흥덕 Lee Heung Deok

Biography



Artist CV


EDUCATION

MFA: Major in Painting, Graduate School of Fine Art, Hong-Ik University
MBA: Major in painting, Department of Painting, Chung-Ang University

SELECTED SOLO EXHIBITIONS / PROJECTS
1993~2008 Gallery SOHEON, Daegu / Gallery Mun, Beijing, Jebiwool Museum, Gwacheon / Hangaram Art Gallery, Seoul Art CENTER / Gallery Scape, Seoul / Gallery Savina, Seoul / Na-Mu Gallery, Seoul / Seok-Nam Museum of Art, Seoul / Na-Mu Gallery, Seoul / Geum-Ho Museum, Seoul, Hyundai Museum of Art,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 ARTFAIR
2008 KIAF, COEX Seoul,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2007 "2006,Asia Art Now", ARARIO, Beijing
2006 "The 100 Anniversary Korean Art",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2004 A Field During 10 Days, Seoul Art Center, Seoul
Artistic Encounter Show:2004 Korean and Japanese Modern Artist, O Museum of Art, Tokyo
Gwang-Ju Biennale, GwangJu
2003 100 Anniversary Korean Cinema, Sejong Center for Performing Arts, Seoul
2002 From Korea Show, Seoul Auction, Seoul
2001 The 1980s Realism and the Epoch Show, Ga-Na Art Center, Seoul
1999 Korean Pop Show, Seonggok Museum of Art, Seoul
Independent Art Show, Seon-Jae Museum of Art, Seoul
1996 1970-90 Opening of the Hall Anniversary, Geum-Ho Museum of Art, Seoul
1992 The 8th JALLA, Tokyo, Irony and Interpretation of It, Hyundai Museum of Art, Seoul
1988 1988 Figuration Show, Paris
1986 The 6th Impact Show, Gyeong-Do Museum of Art, Tokyo
1984 Today in Seoul, Cheon Ya Gallery, Osaka

Public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Seoul Municipal Museum of Art, Busan Municipal Museum of Art, Daejeon Municipal Museum of Art, Museum of Korea University, Han-Won Museum of Art, Savina Museum of Art




중앙대학교 회화과 /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09 나무화랑,서울
2008 갤러리소헌 & 소헌컨템포러리,대구
2007 제비울 미술관, 과천
아트불루 갤러리, 양평
문 갤러리, 베이징
2006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서울
북 하우스, 파주
2005 갤러리스케이프, 서울
2001 갤러리사비나, 서울
2000 나무화랑, 서울
그림시갤러리, 수원
1999 서남미술관, 서울
1996 그림시갤러리, 수원
1995 나무화랑, 서울
1993 금호미술관, 나무화랑, 서울
나무화랑, 서울
1990 한선&갤러리, 서울
현대미술관, 서울
1985 한강미술관, 서울




2009 KIAF 2009(COEX,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SOAF 2009 (COEX,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웰컴 투 가족 - 숨은 마음 찾기(가일미술관)
개관 35주년 기념 한국 현대회화 100인전(우림화랑)
ARTIST FILE , Only One!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2008 ART Singapore(suntec singapore,LEVEL 4,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KIAF 2008(COEX,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안녕하십니까, 노암갤러리, 서울
2007 책 기억전, 북 하우스, 헤이리
성남이야기전, 성남아트센터
비평적 시각, 130여명의 작가들 : 근현대에서 최근까지, 인사아트센터
Fruits 전, 인사아트센타
2006 신소장품 2005,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미술100년, 국립현대미술관
Asia Art Now, 쌈지스페이스
아시아의 지금전, 아라리오 미술관, 베이징
2005 신소장품 2004, 국립현대미술관
아버지의 이야기 전, 가일미술관
폭력의 기억 전, 부산민주공원 전시실
2004 니르바나,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모란미술관
일한 현대미술교류 2004전, O미술관. 일본 동경
광주비엔날레, 광주 상무대 비엔날레 전시장
Life Landscape, 서울시립미술관
2003 희노애락전, 인사갤러리
지독한그리기 - 부드러운 상상력, 부산시립미술관
예술가와 술, 사비나미술관
2002 동화 (童畵) 동화 (童話) 전, 인사갤러리, 서울
THE DOG 전, 갤러리사비나, 서울
한국 發 (From Korea), 서울옥션
2001 1980년대 리얼리즘과 그 시대전, 가나아트 센터전관, 서울
가족전, 서울시립 미술관, 서울
2000 일상, 삶, 미술, 대전시립 미술관, 대전
1999 돈, 돈, 돈, 展, 갤러리 사비나, 서울
코리안 팝(Pop) 展, 성곡미술관, 서울
99독립 예술제 (호부호형)전 , 선재미술관 서울
1998 움직이는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입맞춤전, 갤러리 사비나, 서울
‘性’ 미술전, 한국경제신문사 전시실, 서울
1997 움직이는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6 HUMANSIM, 인사갤러리, 서울
한국모더니즘의 전개 - 근대의 초극「1970~1990」, 금호미술관, 서울
1995 움직이는 미술관, 국립현대 미술관, 과천
1994 서울문화 읽기, 한원미술관, 서울
1993 10인의 모색, 금호미술관, 서울
1992 오늘의 삶 - 오늘의 미술, 금호갤러리, 서울
1991 ‘91현대미술의 기수들전, 갤러리아 미술관, 서울
1990 현대미술의 눈과 조형 전, 현대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 90년대 작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89 80년대, 형상미술전, 금호미술관 개관기념, 서울
1988 80년대, 한국미술의 위상전, 한강미술관, 서울
1987 ‘86 문제작가전, 서울미술관, 서울
1986 6회, Impact전, 경도미술관, 교토, 일본
1985 80년대 미학의 진로전, 한강미술관, 서울
1984 Today in Seoul , 천야화랑, 일본, 오사카
3회, 전환의 회화전, 경인미술관, 서울
1982 한국 현대미술 80년대의 조망전, 미술회관, 서울
겨울 대성리 35인전, 대성리 북한강변
1979~1983 7회~10회 Independant 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고려대학교박물관, 한원미술관, 사비나미술관, 금호미술관


Lee Heung-duk's work is composed of figurative, narrative and pictorial exaggeration. Lee put a kind of violent phenomenon or structure into the substance of the framework above time and place. The violence is found on his canvas as various form in accident. The violence appears physical, linguistic, structural, abnormal, mental, authoritative, capital, male, female, adult and multitudinous, etc. These features come into the ordinary with a panorama. The ordinary itself then come into the general scene. The scene is about the tragedy and makes the spectators to be in a cut-and-dried life.

Lee Heung-duk carries these features to his surface in a particular way. Most features are received in senseless. The artist covers the ill-favored wet as actuality easily with the magic of the pictorial expression. The irony found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demonstrates how to can resist against the tragedy: An ironical humor at the sense of the multiple. In his recent painting, his new tryout, moreover, shows us the feeling of an unusual power from usual occurrence, the surface gets thin with the pure chrome and the pure value over all. This change is a proof that his work is a painting as the decision caused from his attitude solid to express with his idea and artistic subject. The painter just comes to the resistance with his picture.



회화적 감각과 일상에의 저항이 만나는 풍경
김진하(전시기획가)
형상성, 이야기구조, 회화적 제스쳐가 이흥덕 작업의 뼈대이다. 여기에 작가는 인간에의 예의를 배반하는 폭력적 현상과 구조를 시공을 넘나들며 그 내용으로 몽타쥬한다. 폭력들은 도처에서, 온갖 형태들로, 수시로 벌어진다. 물리적, 언어적, 구조적, 변태적, 정신적, 권력의, 자본의, 남성의, 여성의, 성인의, 다수의…폭력. 그리고 불안, 이런 현상들이 파노라마와 같이 펼쳐져 ‘일상’이 되고 그 일상이 넘쳐 거기에 그렇게 있는 일반적 ‘풍경’이 된다. 비극이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나 익숙해있는 이 현실을 비극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무미건조하게 평범한 일상으로 치부할뿐. 이흥덕은 우리가 알면서도 무감각하게 받아들이는 이런 현상들을 섬세하게 채집하고 교집합한다. 그리곤 유쾌하지 않은 이 현실의 질척임을 가볍고 능란한 회화적 표현의 경신술로 통과한다. 그 과정에서 구사하는 풍자는 회화로서 어떻게 저항이 가능한지를 반증한다. 무거운 내용, 장중한 집단 정서에 대해 역설적인 유머로…. 거기에 더해진 쿨한(?) 표현의 새로운 시도와 행보는 폭력에 대한 과거작업에서의 피해의식과는 분명히 달라진 힘을 보인다. 고명도, 고채도의 색상만큼이나 상큼하게 얇아지고 균질화된 화면처럼, 그의 태도가 결정한 형식으로서 회화이며, 그 형식이 견인하는 주제이자 이념인 견고한 태도, 즉 그림을 통한 ’저항‘에 이른다.

이는 원초적인 ‘그리기’가 확대되어서 사적인 주제를 이끌어 내는 것이기도 하다. 감각과 그 너머 이념의 결합이다. 이미지 발화자로서 육체의 주인인 화가가 첫 번째로 중요한 존재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화가는 작업 과정 중에 곤두선 의식과 감각의 예민함, 그 프로세스에서질료와의 통일로 본능적 희열을 느끼고 즐긴다. 작품의 사회적 가치만큼이나 작가에게 크게, 그리고 먼저 다가오는 것은 작업자체의 즐거움/고통이란 뜻이다. 이흥덕의 그림도 이런 작업 프로세스를 통해야만 확인할 수 있는 표현의 감각적 쾌/불쾌감으로 가득차 있다. 그런 신선한 표현들이 소재인 폭력과 작가가 의도한 주제인 저항을 동시에 견인해 내는 것을 가능케 한다.

더불어 중요한 것은 화면에 나열되거나 배치되는 사건, 혹은 이야기 같은 소재보다는 형상, 색, 붓질, 물감의 질료감, 수사구조 등의 조형적 형식이 더 포착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흥덕의 그림은 이야기나 일러스트나 만화가 아닌 회화가 된다. 다시 말하자면 이흥덕 그림의 소재인 ‘폭력적 현실’은 이흥덕만의 것이 아닌 우리 사회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지만 작가 의행위, 표현, 흔적 등의 프로세스로 인해 비로소 ‘회화’가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흥덕의 그림에 등장하는 소재들, 혹은 인물만으로 그림을 보게 되면 폭력이나 현실을 이해만 하게 된다. 그러나 일정한 그의 몸짓과 작업 과정, 섬세한 감각적 형식을 쫓다보면 그 내용이 이해가 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로 스멀스멀 붙어나오는 ‘경험’을 하게 된다. 제법 기분 나쁘고 불쾌한 우리들의 삶에 대한 온갖 기억과 사건과 현실을 깨닫게 되는데, 그 깨달음이 군더더기 없는 회화적 소통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흥덕의 그림이 단순하게 내용의 서술이나 제시만이 아닌 다양한 형식적인 쾌감을 동반하는 회화 구조로 상징이 되고, 그가 원하는 소통의 장으로서의 ‘풍경’을 이루어 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 Pictorial Scene against the Ordinary
Kim Jin-Ha (Art projector)
The framework in Lee Heung-duk's work is composed of figurative, narrative and pictorial exaggeration. Lee put a kind of violent phenomenon or structure into the substance of the framework above time and place. The violence is found on his canvas as various form in accident. The violence appears physical, linguistic, structural, abnormal, mental, authoritative, capital, male, female, adult and multitudinous, etc. These features come into the ordinary with a panorama. The ordinary, then, come itself into the general scene. The scene is about the tragedy and maks the spectators to be in a cut-and-dried life.

Lee Heung-duk carries these features to his surface with a particular. Most features are received in senseless. The artist covers the ill-favored wet as actuality easily with the magic of the pictorial expression. The irony found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demonstrates how to can resist against the tragedy: An ironical humor at the sense of the multiple. His new tryout, moreover, shows us a power different from the feeling of being victimized in his past. In his recent painting, the surface gets thin with the pure chrome and the pure value over all. This change is a proof that his work is a painting as the decision caused from his attitude solid to express with his idea and artistic subject. The painter just comes to the resistance with his picture.

This result, such a recent pictorial change, is caused from that making painting only primitive could get it possible to be the narrative subject. This is to say a combination between the sense and the idea over it. It is principle reason why the painter as a physical subject is a speaker as an expresser of painting. In the making painting process, most painters get an instinctive joy with the sensitive consciousness and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material. For the personal artist, an enjoyment or a pain is more valuable than a social quality. It could be found such as the process that Lee Heung-duk's expresses the enjoyment sense or pain one on his canvas. The expression is so fresh to carry out both the violence as a matter and the resistance as a subject the artist intends to do.

Lee's is rather to be a kind of painting than only a kind of cartoon or a kind of illustration because his work rather to take a spectator into the visual structure, such as form, color, brush stroke and the materials of paint, than the narrative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violent actions the artist applies on his painting are a social matter may people know but the processes such as artist gesture, expression, and visual track are personal. Only the process makes his work to be the painting. To read with his figures on his canvas, you could see only the violent actuality. To get the track of visual form, you could not only experience to feel immediately but als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meaning. All the memory of human's life and something actual on his painting what as you see put you into the awakening. You suppose to be award to the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 awakening. Lee Heung-duk's painting is a kind of symbol caused with the pictorial structure to provoke the various visual joys without only narration of the contents. It takes you in front of a scene as a filed of communication.